본문 바로가기
coupling

국산 유체카플링, Fluid Coupling, Hydraulic Coupling, 사이버설비보전 코리아파워텍

by technical talk 2014. 4. 13.

▷ 유체 커플링 Fluid Coupling

 

      유체카플링의 작동원리.  유체카플링의 특성.  챔버형 유체카플링의 특성.

     유체카플링의 구조.  유체커플링의 종류.  유체커플링의 사용방법 및 설치방법.

     유체커플링의 선정방법.  유체카플링의 주유방법.  유체카플링의 운전 및 보수방법.

     유체카플링의 분해방법.  유체카플링의 오일 종류 등 소개.

 

 

 

                              

 

 

 

 

 

 

유체커플링 작동원리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측에 부착된 내부 임펠러와 출력측에 부착된 외부 임펠러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동력전달 매체로서 일정량의 기름을 채웁니다. 먼저 입력측에 결합된 임펠러가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그 안의 기름이 바깥방향으로 외부 임펠러의 날개에 충돌하면서 운동에너지를 전달합니다. 이 때 기계적 인 결합이 전혀 없이 기름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므로 마모가 일어나지 않습니다전달 토오크의 크기는 입력측 속도, 기름의 량, 회로 직경에 의해 결정됩니다. 슬립은 유체커플링의 기능상으로 볼 때 필수적으로 발생하며 슬립이 없이는 동력전달을 할 수 없습니다. 슬립율을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슬립율(%) = 입력측 속도 - 출력측 속도 입력측 속도 × 100 일반적인 운전조건에서 슬립은 1.5%6% 범위내에 적용합니다H형 유체커플링의 특성 Fluid coupling fitted on electric motor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삼상 농형 유도전동기는 기동시 정격회전수의 85%에서 최대 토오크(정경의 200% 이상)를 발생하며 기동시 순간 전류를 약 6배이상 흡수하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만일 모터를 피동기와 직결하여 사용코자 할 때는 모터의 기동을 돕기 위해 필요이상의 큰 모터를 사용하든 지, Y-기동장치등의 보호장치를 붙혀 사용하든지 아니면 값비싼 특수 권선형 모터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과 대한 초기 설비투자가 요구됩니다. 특히부하변동이 심한 경우(크라샤, 교반기등빈번한 기동이 필요한 경우(, 크레인등 부하를 걸고 기동코자 하는 경우(컨베이어, 탈수기능)에는 더 많은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 기동이 부드러운 유체커플링을 사용하며 그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값비싼 특수 권선형 모터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일반 모터로 대체 가능합니다순간적인 과부하에서도 모터의 속도 저하또는 모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모터를 역회전시켜 피동설치를 제동시킬 수 있습니다기계적인 연결이 없으므로 충격하중 발생시 모터 및 피동설비 모두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기동전류를 약 75% 흡수하여도 기동이 가능합니다챔버형 유체커플링 특성 Fluid coupling with delayd-fill chamber H형 유체커플링은 주로 기름을 최대로 충진하여("O point)사용하는데 기동토오크는 모터 정격의 180-200% 정도가 됩니다. 그러나 기동토오크를 160%까지 혹은, 그 이하로 낮추어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Belt 컨베이어 설계시 Belt의 파단고려(H형 유체커플링으로 기름량을 줄여("4" point혹은 그 이하) 기동토오크를 낮출 수는 있으나 이 경우는 슬립이 증가하고 커플링 내부의 기름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기 때문에 알맞는 규격 선정이 어렵게 됩니다. 이런 불편을 줄이기 위해 H형 유체커플링에 챔버를 붙여 사용하게 됩니다. 챔버가 붙은 유체커플링은 정지시에는 기름이 챔버에 들어 있다가 운전할 때 회로내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기동 시간이 길어져 과도한 슬립의 발생과 기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양호한 슬립으로 최대의 동력전 달을 하게 되며 기동토오크를 140% 이내로 제한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챔버형 유체커플링은 특히 낮은 기동토오크(제한토오크)를 요구하는 Belt 컨베이어등에 유용합니다. CH형은 규격 38H부터 사용합니다설치 Installation HF,HS,HP 종류에서 Fig 7과 같이 Screw를 두 개의 스패너를 사용하여 커플링을 모터측에 장착합니다. 올바른 설치를 위해서 반드시 접촉면에는 기름이나 구리스를 주입해야 합니다 .열박음을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 Seal 의 손상이 우려되므로 가열온도를 90° 이내로 해야 합니다. 모든 종류의 Coupling을 모터에 체결볼트로 고정합니다HF TYPE 설치시 피동기를 고정시키고 모터를 움직여 간격 GTable 4에 맞추고 직각자등을 사용하여 평행변 위를 맞춥니다. 90°방향으로 4곳 정도 틈새 게이지를 찔러 각도 변위를 Table 4 값에 맞추되 값을 초과해서는 안됩니다. 주의 : 플렉시블 커플링은 약간의 각도변위를 허용 할 수 있지만 규정된 값보다 크면 고무엘리멘트의 과도한 마모를 발생합니다주유 Filling instructions H형 유체커플링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커플링을 회전시켜서 각인되어 있는 표시가 위로 향하도록 합니다 먼저 커플링을 가볍게 고정시키고 회로내부의 공기가 빠질 수 있도록 반대쪽 플러그를 개방하고 주입구 밖으로 기름이 넘칠 때까지 부어야 합니다. Table 5,6에는 각각의 주입점에 대한 기름량을 나타내고 있습니다운전중의 누유방지를 위해 플러그에는 나사 기밀제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각각의 주입 점(0-1-2-3-4)은 커플링의 사용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선정할 수도 있습니다. 최대 주입 점(O)에서 유체커플링은 최소 슬립으로 최대 효율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더 낮은 기동토오크가 필요한 때는 기름을 줄여 사용 합니다슬립이 커질수록 단위 효율이 떨어지고 기름이 과열됩니다주위 온도가 낮을 때는 SAE5W 기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유체커플링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Tabel 5에 표시된 주입 량을 참고하십시오CH형 CH형은 기동 토오크와 정격 토오크의 비율을 140% 이하까지도 제한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CH형은 주입 점 2를 최대 로 하며 기동 토오크와 정격 토오크의 비율 조절이 필요할 때는 공급시 지시된 주입 점을 위의 1),2),3),6),6)을 따라 충진시킵 니다운전 및 보수 과도한 발열을 일으키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기름 주입 량이 부족할 때 피동기의 요구동력이 모터의 정격동력보다 높은 경우 주위 온도가 높을때 기동을 빈번하게 할 경우 기동시간이 길 경우 통풍이 잘 되지 않아 커플링이 충분히 냉각되지 않을 경우 운전 20일 후 기름 량을 점검해야 합니다. 또한 모터와 피동기의 Fixing Screw 의 죄임새도 점검해야 합니다6개월 마다 2)의 내용을 반복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HF형 유체커플링에서는 플렉시블 커플링의 평행변위와 각 도변위를 점검해야 합니다. 만일 정상적인 운전시에 휴즈블 플러그가 터지게 되면 1)항의 모든 조건을 검토해야 합니다Fusible plugs140 ±5가 표준입니다. 120 ±5170 ±5가 필요할 시는 문의 바랍니다4,000시간 운전시마다 기름을 교체해야 합니다. 유채카플링 유체카플링 유채커플링 유체커플링 플로이드카플링 유압카플링 임펠라카플링 코리아파워텍 사이버 설비보전 국산 유체 카플링 제작